목록코딩공부/AWS (2)
슈코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MEVT/btrFLBAeWct/OuEAi2UtFG0WI7sihb3ml1/img.png)
이번 유화제작 프로젝트에서 이미지를 유화스타일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기능이 있는데 이전 프로젝트 처럼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파일이 하나로 되어있지 않고 분리되어서 작업이 진행이 되기도 하고, 로컬 파일이나 프로젝트 파일에 이미지가 저장되게 되면 EC2에 배포했을때, 유저가 많아졌을때 서버용량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을 해서 S3로 저장을하고 이미지를 가져오는 방식으로 진행을 했다. 우선 AWS에서 S3를 검색하고 버킷페이지로 온다. 버킷페이지에서 버킷생성을 누르게 되면 보이는 설정사항들이다. 버킷이름은 프로젝트 이름이랑 비슷하게 프로젝트+bucket 이나 images 이렇게 지으면 알기 쉬울것 같아서 네이빙은 그렇게 했다. 이 버킷에 관한 소유권을 지정하는 부분인 것같다. 일단은 S3에서 작업을 나만 하니까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kIVe/btrEwkszgAu/zz3t6XspK0FFWOeVo0iCM1/img.png)
이번에 장고로 만든 추천시스템 프로젝트를 배포하면서 웹에서 CLI 환경으로 접속해서 배포를 했었는데, 웹에서 하면 불편한점이 여러가지 있었다. 일단 nginx의 default 파일을 수정을 하는데, 방향키로 이동만 했을뿐인데 글씨가 바뀌는 현상도 있었고 서버를 실행해놓고 한동안 그 페이지에서 작업이 없으면 작동을 안해서 다시 실행해야 되는 등 안좋은 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그래서 cmd나 shell 로 접속을 하는 방법을 유튜브 영상 도움을 받아서 찾았다. 먼저 AWS 사이트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할때 생성하는 키파일이 필요하다. .pem 으로 되어있는 PEM 파일을 C드라이브에 AWS-KEY라는 파일을 만들어 저장하고 AWS 인스턴스 페이지에서 연결할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연결을 클릭한다. 연결을 누르면..